상일정형외과 척추 4번 5번 협착 수술 두렵다면?

상일정형외과 척추 4번 5번 협착 수술 두렵다면?상일정형외과 척추 4번 5번 협착 수술 두렵다면? PC 캡처 이미지
카테고리: 관절질환

상일정형외과 척추 4번 5번 협착 수술 두렵다면?

​​진료실에서 환자분들을 뵙다 보면 유난히 척추 4번, 5번에 문제가 생겨 내원하신 분들이 많습니다.​​아무래도 이 부위에 퇴행이 온 것도 이유겠지만, 생각보다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.​​의자에 앉아 있을 때, 떨어진 물건을 줍기 위해 허리를 굽힐 때, 스트레칭을 할 때와 같이 상체를 움직일 때 많이 사용되는 부위가 4번과 5번입니다.​​게다가 해당 뼈는 척추 중에서도 하중이 집중되는 가장 하단에 위치하고 있습니다. ​
​​허리통증을 불러오는 질환인 디스크와 협착증은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.​​그 중에서 척추관협착증은 퇴행성 척추 질환인 만큼, 낫지 않는 증상으로 고민이 큰 분들이 많습니다.​​그러면 결국 수술만이 답인가 라는 걱정에 더 이상의 진단과 치료를 멈추기도 하는데요.​​이 같은 고민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라면 오늘 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​​
​​척추관 협착증은 대체적으로 한 부위보다는 여러 부위에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.​​이 중에서 흔하게 유발되는 부위가 4번과 5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​​척추뼈는 여러 개의 뼈가 모여 있는데 이는 경추, 흉추, 요추, 천추, 미추로 나눌 수 있습니다.​​특히나 4번과 5번은 영치뼈의 직전에 위치한 척추뼈인데요.​
​​협착증은 황색인대가 두꺼워지면서 신경을 누르고 압박을 하는 질환입니다.​​척추관이 점점 좁혀져 신경이 눌리기 때문에 이를 방치하면 흉추나 목까지 증상이 이행될 수 있습니다.​​주로 요통을 비롯해 ‘신경성 파행’이라고 불리는 증상을 호소합니다.​​이것은 하지가 저리거나 통증이 있어 가까운 거리도 갈 수 없을 만큼, 보행 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뜻하는데요.​​허벅지부터 시작해 나중에는 종아리, 무릎, 발까지 감각이 둔화될 수 있습니다.​
​​보통 척추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척추관의 내부 공간이 좁아져 노년층에게 발생하는 편입니다.​​하지만 선천적으로 척추관의 공간이 좁다면 이른 경우 30대 이후부터 점차 뼈, 인대 변성이 심해져 발생할 수 있습니다.​​
​​척추 4번 5번 협착증 외에 디스크도 해당 부위에 주로 유발될 수 있습니다.​​이는 퇴행적인 변화 혹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디스크가 본래 자리를 이탈하며 생기는 질환입니다.​​​디스크의 이탈로 인해 척추를 지나가고 있는 여러 신경을 눌러 통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 협착증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​​하지만 알고 보면 두 질환은 발생 기전부터 치료법까지 다르기에 차이점을 알고 대처하는 게 중요합니다.​
​​우선, 발생 기전부터 이야기하자면 ‘협착증’은 퇴행에 의해 척추관이 좁아져 발생하는 질환입니다. 그래서 비교적 60대 이상의 노년층에게 흔하지만,​​‘디스크’는 생활 습관의 영향으로 이보다는 다양한 20~30대 연령층에서 생길 수 있습니다.​
​​미세하게 증상에도 차이가 있는데, 협착증은 허리를 굽히면 일시적으로 척추관의 공간이 여유로워져서 통증이 덜하기도 합니다.​​반면에 디스크는 염증성 통증이기에 허리를 굽히면 되레 통증이 심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​​그리고 앉아 있거나 누워있을 때 다리가 저린 것이 디스크의 특징이지만, 협착증은 주로 걸을 때 다리가 심하게 저린 편입니다.​​
​​척추 4번 5번 협착증으로 인한 증상을 개선하려면 우선 정밀하게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.​​호소하는 병증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올바른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​
​​대체적으로 90%에 속하는 분들은 수술이 아닌 보존적인 치료로도 증상의 완화를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.​​하반신의 마비가 올 만큼 심각한 수준이 아니라면 약물 요법이나 물리치료와 같은 방법을 우선적으로 적용합니다.​
​​초기보다 협착증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다면 통증의 원인이 되는 신경을 찾아서 약물을 주입하는 주사치료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.​​하지만 이런 방법으로 개선이 되지 않을 만큼의 유착, 신경 압박이라면 신경성형술(PEN)를 고려해봐야 합니다.​​이것은 수술을 고려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적용 가능한 비수술 치료 방법입니다.​​해당 방법은 국소 마취 후에 주사보다 예리한 카테터를 통하여 약물을 주입해서, 유착 제거 및 염증 완화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​
​​척추관협착증은 신경이 눌린 상태를 고려해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해당 질환은 유발 원인이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퇴행적인 요소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.​​특히 퇴행이 이미 진행된 상황이라면 이전과 유사한 상태로 돌아가기엔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.​​따라서 척추에 문제가 나타났음을 인지하였다면 가능한 빠르게 진단을 받고 대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​