발목관절염치료 젊은 층에게 필요한 이유는?

발목관절염치료 젊은 층에게 필요한 이유는?발목관절염치료 젊은 층에게 필요한 이유는? PC 캡처 이미지
카테고리: 관절질환

발목관절염치료 젊은 층에게 필요한 이유는?

안녕하세요. 정형외과 의학박사(족부족관절학)이자 15년간 족부질환을 집중적으로 진료해 온 강동구 서울건우정형외과 최홍준 원장입니다. ​​이번 글에서는 발목 관절염의 단계에 따른 다양한 수술 방법과 비수술적 치료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. ​​발목 관절염은 연골의 손상으로 관절 간격이 좁아지면서 발생할 수 있으며, 발목 인공관절 치환술과 발목 고정술 등 단계별 치료법이 있습니다.​
발목 관절은 뼈와 뼈가 서로 맞닿으며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원활한 움직임을 위해 관절 내 뼈들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그 사이에는 연골이 자리 잡고 있어 충격을 흡수해 줍니다. ​​하지만 여러 요인으로 연골이 닳게 되면 뼈들이 서로 부딪히게 되며, 이로 인해 통증과 염증이 생기게 됩니다. 발목 관절염은 노화나 외상, 인대 손상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.​​
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, 발목 관절염으로 매년 약 100만 명 이상이 병원을 찾고 있습니다. ​​발목은 다른 관절보다 면적이 3/1 수준인데요. 발목이 좁은 면적에 비해 걸을 때 체중의 세 배 이상 압력을 받기 때문에 외상이 빈번하고, 연골 두께가 1mm 정도로 얇아서 쉽게 손상될 수 있습니다. ​​발목 관절염은 1~4기로 구분되며, 1기~2기에는 보존적 치료를, 3기~4기에는 수술적 치료를 주로 고려합니다. ​
- 1기~2기: 연골이 다소 닳았으나 아직 뼈끼리 충돌하지 않는 상태입니다. 이 시기에는 연골 재생에 도움을 주는 주사치료 등의 비수술적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.​ - 3기: 뼈끼리 충돌이 시작되는 중기 단계입니다. 3기에는 '과상부 절골술'을 통해 손상된 연골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관절 변형을 교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이 수술법은 관절 보존술의 일종으로, 기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​
​​- 4기: 관절염의 마지막 단계로, 뼈 간격이 거의 사라져 극심한 통증과 기능 장애가 발생합니다. 이 경우, 인공관절 치환술 또는 발목 고정술(유합술)을 고려하게 됩니다. ​​인공관절 치환술은 손상된 관절을 제거하고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방법이고, 발목 고정술(유합술)은 관절을 구성하는 두 뼈를 고정하여 통증을 줄이는 수술입니다.​
​ 인공관절 치환술과 발목 고정술(유합술)은 발목 관절염 4기에서 선택 가능한 방법이지만, 두 가지 방법에 차이가 있습니다. ​​인공관절 치환술은 인공 관절을 삽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 수명이 제한적이며, 일정 시간이 지나면 교체가 필요​할 수 있습니다. ​
​​이렇게 인공관절 치환술은 사용할수록 닳기 때문에 그만큼 아껴 써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 ​​반면, 발목 고정술(유합술)은 수명 제한이 없어 비교적 영구적입니다. 따라서 비교적 젊은 환자나 활동량이 많은 환자에게는 해당 방법이 선호될 수 있습니다.​
발목 관절염이 4기로 진행되기 전인 3기는 특히 중요한 시기입니다. 3기 상태에서는 과상부 절골술을 통해 기존 발목 관절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으며,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비수술적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.​​증상과 통증의 정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, 타인에게는 4기에 가까운 상태라도 본인은 통증이 심하지 않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. 그러나 3기 관절염을 방치하면 병이 빠르게 진행하여 4기로 악화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.​
​ 발목 관절염은 단계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지므로, 정밀한 진단이 필수적입니다. ​​저희 서울건우정형외과는 대학병원 수준의 의료 장비와 수술실, 입원실을 갖추고 있어 정밀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제공합니다. 발목 관절염이 의심되신다면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.​ ​